Page 90 - E-BOOK
P. 90

마지막으로 다소 어려운 질문입니다. 우
           리가 이야기하는 ‘교육선교’는 디모데양
           육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1번부터 7번까지 다 어려웠는데, 8번은
           더 어렵다고요? 흑.


           지난 번 겨울 수련회 때 교육선교에 대해
           다양하고 복잡한 생각들이 있음에 참 신
           기했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제 생각과 다
           르신 분은 좀 불편하실 수도 있겠지만, 나
           중에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으니 편안하
           게 읽어주세요.

           저는 교육선교의 핵심은 디모데양육이라
           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있어서 디모데양육
           은 사랑과 동의어입니다. 이웃사랑을 실천
           하는 데 있어 우리가 더 집중해야 할 곳은
           디모데양육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사로서
           가장 많이 만나고 관계를 맺는 이웃은 학
           생이기 때문입니다.
                                           마땅하지만, 균형을 잃으면 선교단체로서
           그래서 수많은 종류의 교육선교의 모양            의 핵심을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 디모데
           이 있고 모두가 의미 있지만, 굳이 우선순         양육은 TEM이 각기 다른 논의와 다양한
           위를 따져본다면 저는 디모데양육에 집중           방향의 갈림길에 있을 때에도 길을 잃지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관련성           않는 지표가 되어 줄 것이라고 믿습니다.
           에 대한 제 답을 드리자면 교육선교의 한          하나님의 복음과 사랑이 우리의 기준이 되
           모습인 디모데양육은 TEM에게만큼은 교           듯이.
           육선교 자체가 될 수도 있고, 디모데양육          디모데양육 외의 영역을 간과하거나 과소
           이 교육선교의 하위영역이라 볼 수 있지           평가하지 않습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
           만, 가장 비중 있는 것이라고 정리를 해보         과 노력으로 교육선교의 범위가 확장되고
           았습니다. 2020년 겨울수련회 때 선생님         더 깊이 있고, 사회에서의 영향력을 더 끼
           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제 생각이 좀 더          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선교의 다양성
           다듬어지겠지요?                        을 모색하는 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입니
                                           다.
           그리고 교사인 ‘우리’가 이야기하는 교육
           선교이기 때문에 더욱 디모데양육, 학급제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고르라
           자양육이 우리의 중심 선교사역이 되어야           면 역시 저는 디모데양육입니다. 부끄럽지
           한다고 봅니다. 복음, 하나님과의 관계. 그        만 한 가지 고백하고 싶은 것은 이렇게 디
           것이 가장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선교는           모데양육을 이야기하는 저는 정작 TEM
           복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것입니다.          의 훌륭한 선생님들처럼 디모데양육을 잘
                                           하지는 못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공동체에서 배우기로는 TEM의 시작
           이 학급제자양육이었습니다. 양육이라는            사랑에 서툰 사람이라 여전히 사람과 만
           개념 자체는 매우 넓게 받아들여질 수 있          나는 것이 수줍고, 누군가와 특별한 관계
           습니다. 학급제자양육에 집중하되 학급제           를 맺어 사랑을 주고받는 것도 영 어색하
           자양육으로 학생들을 사랑하기 위해서 교           고 자신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하나님의
           육정책, 수업, 생활지도, 그 외 영역에 접근       사랑을 알게 되니 그 사랑을 전하고 싶어
           했으면 좋겠습니다. 다양성은 수용해야            서, 그 전에는 외면했던 제자양육을 해보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