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4 - E-BOOK
P. 94

INTERVIEW




                                         ߅അࣻ

                                           ೟ߣ ] ߹ޖܻ೟Ү ] Үਭ ҃۱   ֙

                                             ֙ࠗఠ ૑Әө૑   ֙р ҮࢎࢶҮഥীࢲ ӝة೟ࢤ੐ਗ   ࢶҮഥ ࠄࠗрࢎ  ஬ಌ
                                         झрࢎ  ੿рࢎ  ؀಴рࢎܳ Ѣ୛৳Ҋ  ࠺੹     ࠁҊࢲ ੘ࢿ ߂ ୶૓ਸ ೧য়׮ ӝة
                                         Ү؀উ೟Үੋ ߹ޖܻ೟Үܳ ࢸ݀ೞৈ അ੤ח Ү੢ਵ۽ ੤૒ೞҊ ੓णפ׮










        13                                                               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학생 개개인의

              별무리$                       द੘                              진로에 초점을 맞춘 역량중심으로 교육



                                         별무리학교를 세우고 힘쓰는 이유는 무            과정을 편성했고, 학교내 교사 자원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온라인,오프라인)의 자
                      학교                 엇인가요?                           원을 활용하기 위해 네트웍 중심의 교육
                                         별무리학교는 교육에 희망을 주고자 설립
                                                                         을 설계했으며 이의 실현을 뒷받침 할 수
                                         한 학교입니다. 기독교대안학교로서 별무           있도록 쿼터별 학점제도입 및 시스템을
                                         리학교의 사명은 대안학교들과 공립학교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일부 시·도
                                         의 모델이 되는 학교가 되는 것이며 별무          의 장학사나 교육부 또는 교수들이 방문
                                         리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들을 공립            하여 미래교육과정으로서의 맞춤형교육
                                         학교 및 대안학교들에 보급하여 '교육에           과정을 연구하는 정도이지만 이후에는 공
                                         희망을' 줄 수 있는 브릿지 역할을 하고          교육과 대안학교의 지평을 새롭게 여는
                                         자 하는 것입니다. 또한 기독교교육을 통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해 갔으
                                         해 자라난 별무리인들이 사회 각 영역에           면 하는 희망입니다.
                                         서 하나님나라를 위한 책임있는 제자들
                                         로 성장할 수 있도록 키워내고자 하는 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한계는 무엇인
                                         명이 있고,  교사선교회 제자 양육의 모델         가요?
                                         이 되고자 하는 소망도 있습니다. 교사선          맞춤형교육과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는
                                         교회와 공립학교에 희망을 주는 학교로            학부모와 학생들 그리고 교사 공동체에
                                         성장해 갈 수 있도록 많은 기도 부탁드립          게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닌 맟춤형교육과
                                         니다.                             정을 통한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설
                                                                         득하는 과정이 어려웠습니다. 도입과정에
                                                                         서 많은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는 아픔을
                                         ഝز                              겪기도 했습니다.  맞춤형 교육과정은 도
                                                                         입 4년차가 되었지만 교육과정을 좀더 정
                                                                         교하게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
                                         과정에서 가장 의미 있었던 일(사건)은           합니다. 그러나 한 학교의 힘만으로 진행
                                         무엇인가요?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학교 운영
                                         별무리마을과 별무리학교가 이 땅에 탄생           을 위한 교사진 이외에도  이를 연구하고
                                         할 수 있었던 것이 가장 의미 있는 일이었         구체화하여 교육현장에 보급하기 위한
                                         습니다. 학교를 개교한 후에는 고등학교           연구 인력들이 별도로 필요하나 예산의
                                         설립 후 맞춤형교육과정을 도입한 것입니           한계상 인력이나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
                                         다. 맞춤형교육과정은 한 교사가 학생들           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희망하
                                         을 키우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          기는 교사선교회가 별무리연구소에 인력
                                         하고 세상에 있는 모든 자원들이 교사가           과 재원을 지원해 준다면 맞춤형교육과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도          정의 완성시기를 좀더 앞당길 수 있을지
                                         입된 교육과정입니다. 맞춤형교육과정이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갖는 의의는 많습니다. 공교육의 입시제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