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5 - E-BOOK
P. 255
은 수업을 개설하거나 수강할 수 있다. 필 서 시도하고 있는 학교는 거의 없었다고 정은 조금씩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지금
수 교과목이 있기는 하지만 많은 부문에 보아야 할 것이다. 세상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별무리학교가
서 학생의 선택권이 주어진다. 매 쿼터 개 정부가 학점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취지 과감히 도전하고 그 도전을 현실로 만들
설되는 수업이 200여 개 이상이 되는 것에 는 현재의 입시위주의 교육으로는 희망이 어 내고 있는 과정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
서 알 수 있듯이 정말 다양한 수업 활동이 없다고 보아서 일 것이다. 학생들에게 좀 이고 칭찬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더 도움이 되고 좀 더 교육다운 교육을 할 그렇다고 해서 우리의 교육과정이 완성된
수 있는 방향이라고 보았기 때문일 것이 모습을 갖춘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제
맞춤형 교육과정은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 다. 그러나 선뜻 현장에 학점제를 도입하 우리는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동력을 겨
업을 지향하고자 한다. 그러기에 국가교 기는 쉽지 않다.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 우 확보했을 뿐이다. 그리고 방향을 잘 잡
육과정에서 정해진 수업을 교사들이 주도 이다. 도입하기 전에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았을 뿐이다. 다만 감사한 것은 ‘속도보다
하는 방식을 내려놓고, 교사와 학생, 학생 산적해 있다. 설사 어렵게 도입한다고 해 는 방향이 중요합니다.’라고 개교할 때부
과 학생, 학생과 학부모, 학생과 외부 전 도 성공할 가능성도 매우 희박하다고 본 터 외쳐왔던 메시지를 모델로 보여주고 있
문 자원들이 세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다. 원래의 학점제의 취지와는 다른 매우 다는 것에는 감사하다.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아직 우리 사회 왜곡된 모습의 학점제가 도입될 가능성이
가 이러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유 많다. 그러나 바라기는 낮은 단계의 학점 둘째, 교육의 본질에 좀 더 접근하고자
연한 사회는 아니기에 지금은 초급 수준 제라도 이 정부에서 꼭 도입되었으면 하 하였다.
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만 작게는 학 는 것이 나의 작은 바람이다.
교 공동체에서 시작하여 학교, 마을, 지역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언급할 때 빠
사회 나아가 해외 자원들과의 활발한 공 별무리학교는 2016년에 학점제를 기반으 지지 않고 나오는 주제는 대학입시 위주
유와 소통 가운데 세상에 있는 풍부한 자 로 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도입할 때 내외 의 교육에 대한 폐해에 대한 것이다. 왜 수
원들이 모두 개인의 성장을 위한 교육적 적으로 많은 반대와 어려움이 있었다. 처 능 중심의 입시 교육이 문제인 걸까? 수능
기반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맞춤형 교육 음으로 시도해 보는 학점제에 대한 불안 은 1-9등급까지 학생들을 줄 세운다. 그
과정의 궁극적 모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 감이 컸고 실제 많은 학생이 학교를 떠나 리고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우등생, 9등급
다. 이런 관점에서는 별무리학교는 아직 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맞춤형교육과정 을 받은 학생은 열등생으로 낙인찍는다.
초기 단계의 시도를 하고 있다고 보는 것 을 실시하고자 하는 결정은 모험이었다. 오직 대학 입학이 교육의 목적이 되어 버
이 맞을 것이다. 우리학교가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형태
는 다른 대안학교나 공립학교에서도 실시
그럼에도 많은 공립학교나 교육부 각 대 해보려고 했었을 것이다. 교육부나 대학
학의 교수님들 그리고 대안학교들이 우리 에서도 많이 연구했던 주제로 알고 있다.
학교의 맞춤형 교육과정에 관심을 보이 하지만 실제로 도입을 하고 해낸 학교는
는 것은 다른 곳에서는 시도해보지 않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학생 맞춤형 학점제를 도입하여 시도하
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시련 없는 도전은 없다’
교육현장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교육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문제인 정부 그 모험이 가치 있는 것이라면 그 방향으
의 공약사업에 학점제 도입이 들어가 있기 로 나아가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어야 한
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학점제를 현장에 다. 감사하게도 3년이 지난 별무리교육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