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 E-BOOK
P. 217
라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복음을 편파적으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 제자도를 온전히 배
우기를 제안합니다. 특히 제자의 길에 있어서 ‘로잔 언
약’(1974)1에서 얘기했던 복음과 사회를 함께 견인해가는 두
가지 축을 놓치지 않도록 복음의 공공성 및 균형성을 제시하
였습니다. 다만 교육선교 영역은 그동안 성경공부 등을 통해
많이 논의된 바가 없기에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ೞաש աۄ ࠂ ઁبܳ
ৡ ߓӝܳ ઁউפ ౠ
ઁ ӡী যࢲ r۽ਖ਼
ড ীࢲ ফӝ೮؍ ࠂҗ ࢎഥ
s
다. 저는 지난 2017 수련회 때 교사선교사의 3가지 사역에 대 ܳ ೣԋ Ѽੋ೧оח ف о ୷
해 이미 제시한 바 있습니다.
ਸ ֬ ঋب۾ ࠂ ҕҕ
예수님이 공생애 사역을 통해 보여주신 세 가지 주요사역 즉, ࢿ ߂ Ӑഋࢿਸ ઁदೞणפ
말씀 전파, 가르침, 치유와 회복같이 교육선교사도 이와 비슷
한 흐름을 가지고 양육(전도), 교육, 긍휼(성육신) 사역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3가지 사역은, 가운데에 자리한 ‘복음’
의 뿌리를 바탕으로 행해지는 원심력적 사역의 주요 형태이지 보아 빈칸으로 남겨두었습니다. 물론 제자도 영역 또한 함께
만, 사역의 필드나 방법은 각각 고유한 특성이 있음을 보여줍 논의를 진행해가면서 알맞게 보완해가야 할 것입니다. 교사선
니다. 또한 지난 비전소위원회가 선교회 지체들을 대상으로 교회 성경공부 교재 개정 방향에 ‘제자도’, ‘교육선교’라는 두
‘바람직한 교사선교사상’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응답된 내용과 영역이 편의상 구분이 되었지만, 구체적인 구성의 순서나 내용
도 거의 일치합니다. 그렇다면 교사선교회가 수행해야 할 교 은 앞으로 이를 연구하게 될 연구팀이 세워진다면 함께 논의
육선교가 어떠해야 할지는 좀 더 분명해질 것이며, 이 일을 균 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성경공부 교재를 제작해 보았거나 말
형 있게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을 세우기 위해 더욱 보완하고 씀 묵상 및 연구에 마음이 있는 사람, 특히 교육선교 관점을
연ҳǁ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첫째는 교육선교의 철학과 개념 교재에 녹여내는 일에 의지가 있는 헌신된 자원자들이 준비
을 함께 전수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고, 둘째로는 선교회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교사선교회의 양육 교재 개편이
의 훈련과정과 성경공부 교재 개편을 통해 이 일을 해나갈 수 포스트 비전의 중요한 터닝 포인트로서, 교육선교 사역의 길
있을 것입니다. 성경공부 교재를 교육선교 관점에서 새롭게 을 여는 굉장히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감사합
제작한다는 것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바르 니다.
게 세워갈 ‘하나님 나라 제자도’ 를 배우고, 교육계에서 하나
님 나라 제자도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어떻게 교육선교를 1) 1974년 7월 스위스 로잔에서 약 150개 국가로부터 2,700여 명의 복음주의
교회 지도자들이 모여 복음화 국제 대회를 열었는데, 이것이 바로 현대 복음주
할 것인지에 대한 원심력적 ‘교육선교’에 대해 성경을 바탕으 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대회로 여겨지는 ‘제1차 로잔대회’이다. 존 스토트 목
로 연구하며 기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사는 여기에서 ‘복음 전도의 성서적 기초’라는 개회 강의를 하였는데, 선교에 대
한 성서적 정의를 제시하였고, 이후 ‘로잔 언약’ 제4항(전도의 본질), 제5항(그
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등을 기초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이현모, 1994:
이 표는 그러한 방향에 따른 성경공부 내용 체계의 예시 초안 187-190). ‘로잔언약 원문’을 보고 싶으면 다음의 단행본을 참고하길 바란다.
입니다. 말 그대로 초안이기에 너무 무겁지 않게 봐주시기 바 조종남(1990). 로잔, 세계 복음화 운동의 역사와 정신. 서울: IVP
랍니다. 핵심은 ‘하나님 나라의 제자도’입니다. 제자도의 첫
책인 ‘복음’은 현재의 새생명 교재와 비교할 수 있는데 지금의
것과는 구성이 아주 다릅니다. ‘복음’ 책에는 성경에 대한 기
본적인 이해를 다루고, 기독교 세계관이라 할 수 있는 창조.
타락. 구속과 회복 및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나는 것에 대해 구
성했습니다. 다음으로 ‘하나님 나라’를 제시합니다. 하나님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