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9 - E-BOOK
P. 229
다양한 견해 п ইઃী ೞৈ ࠺ਤਗٜ ౣ
ਸ ইչणפ Ӓ۞ա ೠಞਵ۽ח ਤਗ݃
दпҗ ࢤп ژೠ ઓפ ҕز
ܳ ؊ ೂࢿೞѱ ݅٘ח ࠺ਤਗٜ ন
ೠ ࢤпਸ ѐ߹ ݭ۽ ܻפ
ൃߧ ઑ ୭ਮ
교육이냐 양육이냐를 넘어, 샬롬을 대학때로부터 훈련받지 않고 함께 주재권, 양육, 공동체, 개척. 공동체
바라보자. 하게 된 사람이나 공동체를 잘 알 가 붙들고 있는 핵심 가치들이 새삼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는 것과 교육 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핵심 가치는 스레 너무 귀하다. 어느 누구도 아
계를 세우는 것은 같은 무게로 동등 짧은 시간에 공동체를 설명하는 키 닌 하나님께서 이 공동체와 모임의
하게 중요하다. 그리스도인의 복음 워드가 된다.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 주인이시다. 하나님께서 세우시고
전파와 사회적 책임 두 가지 모두를 에게 핵심 가치는 점검표와 나침반 여기까지 인도하셨다.
강조한 세계 복음화 국제대회의 ‘로 으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그런 이 또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양육이
잔 언약’은 교사선교회에도 시사점 유로 건드리기조차 조심스럽던 핵 라는 귀한 선물을 주셨다. 양육의 경
을 준다. 우리는 때로는 디모데양육 심 가치에 대해 여기저기서 이야기 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양육이 얼
과 교육적 실천을 서로 상반되게 여 가 나온다는 것은 우리 공동체가 변 마나 귀한 선물이고 하나님께서 얼
겼다. 물론 교육적 실천이 곧 전도 화의 갈림길에 서있다는 분명한 증 마나 그 가운데 많은 은혜를 주시는
일 수는 없다. 그러나 이는 우리 책 거이기도하다. 지 알 것이다. 양육으로 연결된 리더
임있는 기독교사에게 어느 하나의 ‘우리의 것은 소중한 것이여’라는 목 와 멤버 그리고 그들이 모인 교사선
손을 들어줄 수 없는 것이다. 둘 다 소리와 ‘혁신만이 살 길이다’라는 목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교사선교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데 필수 소리가 팽팽하게 맞서는 지금의 상 사로서의 삶을 도전받고 도전을 준
적이기 때문이다. 황에서 정체성은 잃지 않으면서 급 다. 그리고 서로 이끌어주며 맡기신
공동체는 최근까지도 양육이냐 교 하지 않게 그렇지만 분명하게 조금 길을 걸어가고 있다.
육이냐라는 이분법적 거대담론 사이 씩이라도 변화의 길로 한걸음씩 나 마지막으로 개척의 정신을 잊지 말
에서 고민해왔다. 선교회의 방향을 아가길 바란다. 아야 할 것이다. 교사선교회는 자급
결정짓는 중요한 논의이다. 하지만 그때의 핵심 가치가 그때를 살았던 자족(?)이 가능한 공동체라는 말이
이 그늘 아래 가리워졌던 수많은 회 나의 가슴을 뛰게 했으니 나온다. 만족스러울만큼 규모가 있
원들의 세세한 부르심의 결이 있다. 지금의 핵심 가치는 지금을 살아가 고 결핍과 부족함을 그다지 느끼지
우리들의 삶이 있다. 실재하는 삶 가 는 누군가의 가슴도 뛰게 하길 기대 못할 정도다. 그렇지만 우리는 ‘땅
운데 이미 둘은 통합되고, 균형을 추 한다. 끝까지 이르리라’는 주님의 말씀을
구하고 있다. 그것이야말로 하나님 기억하며 교육계 안의 하나님 나라
께서 각자 다른 모습 다른 맥락으 확장을 위해 계속해서 나아가는 공
로 우리를 부르신 아름다운 모습이 동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모
다. 이제는 이미 샬롬의 비전을 살 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기를 간절히
고 있는, 작지만 소중한 삶에 관심 소망한다.
을 가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