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5 - E-BOOK
P. 225
나. 비전연구소 설립 제안 4) 활동 내용
▪ 포스트 비전2020 연구
1) 필요성 - 비전 해석 - 공동체적인 공유
▪ 조직 구조상의 변화: 지금의 전략기획팀은 사무국에 소속된 ▪ 비전 전략 기획 및 실행
하나의 팀이다. 조직 구조적으로 사무국장과 의논하여 사역을 - 전략 기획
진행한다. 그러나 공동체의 비전을 이룰 전략을 구상하고 관 - 관련 사역 실행: 간사전략회의, 교사수련회
련 사역을 기획하는 팀의 특성 상, 대표간사와 더 많은 소통을
하며 대표간사의 의도에 맞게 사역을 펼치는 것이 합당하다. 5) 연구소장과 연구원
▪ 소장: 임기 4년 *1년 유예 가능
▪ 동역자의 필요성: 전략기획팀이 시작되고 난 뒤 대부분의 ▪ 연구원
기간 동안 팀원 없이 팀장 혼자서 활동을 해왔다. 한 명의 팀장 - 대상
이 전략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있다. 전략기획팀은 공동체의 방 ․ 선교회 멤버십을 갖고 정기적으로 모임에 참여하는 자
향을 다루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이 일은 여러 사람의 의견과 ․ 양육에의 부르심을 갖고 정기적으로 양육에 참여하는 자
아이디어를 모으는 것이 더 건강하다. 전략기획팀에 더 많은 동 ․ 가치와 정신을 연구하고 이를 실행하기를 기획하는 일에
역자들이 있다면 대표간사와 함께 공동체의 비전을 해석, 기획 부르심과 은사가 있는 자
하여 본부 국장들과의 협의하고 그에 따른 사역을 펼치는 일
- 후보: 비전위원 / 전략기획팀원 / 공고 추천
에 안정감이 더할 것이다. - 임기: 3년
▪ 자문위원: 제안, 조언, 강의 등으로 연구소의 활동을 돕는
▪ 포스트 비전2020의 싱크탱크: 교사선교회는 비전2020을 역할
마무리하고 포스트 비전2020을 탐색하는 역할을 비전위원회 ▪ 프로젝트 팀: 일정한 목적을 위해 단기간 동안 모집 운영하
라는 별도의 임시 기구를 만들어 맡겼다. 이 기구는 기존의 사
는 팀
역에서 잠시 눈을 돌려 공동체 전체를 조망하고 미래를 탐색하 - 프로젝트R, 프로젝트W
는 일에 헌신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는 포스트 비전
2020을 공동체적으로 공유하고 해석하여 정착시키는 과정이
이어질 것이다. 이 역할을 맡아 본부와 협의하고 협조하는 공
동체의 싱크탱크와 같은 조직은 앞으로의 과정에 깊이와 넓이
를 더한다.
▪ 별도의 집중된 모임: 공동체가 성장하면서 지금의 본부 국
에는 이미 많은 사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국장들은 국의 현
안을 챙기고 사역을 지원하는 일에 많은 힘을 쏟는다. 본부 회
의에서 공동체의 방향성을 다루는 일에 전적으로 관심을 쏟기
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지금까지의 비전위원회가 어느 정도
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 것 또한 별도의 모임과 에너지를 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존 사역의 틀에서 벗어나 있는 포스트
비전을 위한 모임이 있다면 한층 더 풍성하게 공동체의 미래
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2) 목표
▪ 교사선교회의 비전을 연구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전략을
기획한다.
3) 활동 구조
▪ 대표간사 → 연구소 연구 → 본부(정간사회, 국장회)에 제
안 → 본부(정간사회, 국장회)와 논의 → 연구소 기획 → 본
부(정간사회, 국장회)와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