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E-BOOK
P. 41
샬롬을 이루시는 하나님 의롭게 대하지 않고서는 그와 함께 샬롬을 꿈꿀
수 없다. 사건을 정의롭게 다루지 않고서는 창조
공동체의 정체성은 ‘하나님께서는 누구신가?’라 세계에서 샬롬을 이룰 수 없다. 모든 피조물은 샬
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하여 형성된다. 하나님 롬의 상태 안에서 바른 관계를 맺고 공의를 누린
은 어떤 분이신지를 이해하고 그분이 원하시는 다.
일에 참여하는 실천은 곧 공동체의 방향이 된다.
이러한 정체성은 공동체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r଼sۆ যڌѱ ࠁݶ ޖѢ ࣗҊ ࠗ
झ۠ ࣗ݅ അ ӝةҮ৬ Үഥীࢲ
인 세계관을 형성한다. 성경의 이야기는 하나님께 ܖযঠೡ ࠗ࠙ ࠙ݺೞ
서 사람과 세상에 바라시는 일을 이루어 온 서사 @؋ଲ ] ۽ં3 ਕࢪ
이다. 이 이야기는 세상에 대한 관심을 닫고 영적
세계에만 집중하지 않는다. 단지 개인적인 경건생
활로 나중에 돌아갈 본향을 묵상하는 것만이 아 샬롬은 책임에 발을 딛고 서 있다. 하나님께서는
니다. 그것은 분명 하늘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저 사람에게 책임있는 역할을 부여하셨다. 그것은
세상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 이야기는 지금 태초에 만물의 이름을 짓는 역할을 받은 아담 창
2:19 에서 시작하여, 오늘날 각자의 영역을 살아가
을 살아가는 우리 중에 임하신 하나님의 임재를
말해준다. 이 땅에 이미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가 는 그리스도의 제자들 마28:18-20 에까지 이른다. 공
어떤 곳인지 보여준다. 예수께서 십자가로 선포 적 역할을 수행하는 일터, 삶의 바탕이 되는 가정,
하신 그리스도의 통치권을 알려준다. 그것은 샬 더불어 살아가는 마을을 비롯하여 거시적 영역
롬이라는 모습이다. 샬롬은 구약의 시가서 시72:1- 인 경제, 문화, 정치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곳곳에
19, 잠8:13-17 와 예언서 사9:6-7, 슥9:9-10 에서 선포된 하 서 다차원적인 존재로 살아간다. 그리스도인의
나님의 말씀이며 신약에서 에이레네 eirene, 골1:15-20 부르심이란 자신이 속한 여러 가지 영역이 하나님
와 화평 행10:36-38 이라는 이름으로 이어지는 신앙 께서 나에게 맡기신 역할의 터전이라는 책임의식
마5:14-16 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 역할을 하나님
공동체의 소망이다. 또한 그것은 하나님께서 태
초에 우주를 말씀으로 창조하신 조화로운 질서 의 의도에 맞는 적절한 방식에 따라 수행하기를
의 상태 창1:31 이며, 장차 왕되신 예수 그리스도께 원하신다는 소명의식 시1:6 을 요구한다. 그리스도
서 다시 오셔서 완성하실 벧후3:12-13, 계11:15 하나님 안에서 책임있는 삶은 자신이 그분 앞에 서는 날
나라의 통치이다. 이 올 것이며 그때 부르심을 얻은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돌아보게 된다는 걸 염두하는 삶이
ೞաש ܻীѱ ࠁৈदҊ Սदח ୌ 다. 샬롬에 대한 책임은 개인에게 부담을 지우고
Ҵ ٶ оؘب ܻ 결과를 모두 감당하게 하는 현대사회의 무거운
ח ࣁ࢚ਸ ߄ܰѱ rझܻח Ѫsীࢲ पഅ 책임이 아니다. 이는 예수께서 우리의 수고를 적
ػ ܻо ইоח ٶ ೞաש աۄ 절한 방향으로 이끄시는, ‘쉽고 가벼운 멍에 마11:30 ’
о غب۾
@थ ] ۽ં3 ਕࢪ 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책임있는 공동체는 자신
이 속해 있는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통치 방식
에 순종하는 책임을 가지는 모임이다.
샬롬의 요소: 공의 책임 기쁨
ҮࢎࢶҮഥо ೯ࠂਸ ೣԋ וՙҊ ҕਬೡ ࣻ
의롭고 공정한 일을 하는 것이 제사를 드리는 것 ח ҕزо غӡ ߄ۉפ
보다 여호와를 더 기쁘시게 한다. @ೂ ] ѹࣻ۲ഥ ࣁ߹ ݽ
_잠21:3 샬롬은 기쁨에 발을 딛고 서 있다. 샬롬이란 그리
스도의 제자들이 하나님과 자기 자신의 관계, 세
샬롬은 공의에 발을 딛고 서 있다. 하나님께서 당 상 만물과의 관계 속에서 적절하게 살아가는 기
신의 사람들에게 주시는 명령에는 늘 ‘공의’와 ‘정 쁨을 누리는 상태이다. 샬롬의 사람은 우선적으
의’가 제시 창18:19, 렘22:3, 겔45:9-10 되어 있다. 성경에서 로 자신의 내적인 삶에서 기쁨 시16:8-9 을 누린다.
선포하는 공의란 공정한 태도 삼하8:15 를 말한다. 이 주님과 교제하며 충만한 은혜를 얻고 하나님의
는 어떤 일을 판단하는 의로운 성향이다. 히브리 자녀로서의 지위를 기뻐한다. 샬롬의 사람은 또
어의 쩨다카 tzedakah, 렘7:5-7 로 기록된 공의는 바르 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며 기쁨 요15:11-12 을 누
고 의롭게 반응하는 인격적인 소양이다. 또한 정 린다. 함께 하는 사람들과 친밀함을 공유하고, 속
의 시72:2 에 해당하는 미슈파트 mishpat(사1:16-17) 는 재 한 영역에서 다양한 이들과 적절한 관계로 협력
판관의 판결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 곧잘 사용하 하며, 서로의 필요를 섬김으로 채우는 사람들을
는 표현이다. 판결이 법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 통하여 그들 안에 계시는 하나님을 발견하며 기
질 때 재판은 정의롭다. 이렇듯 어떤 일에 반응 뻐한다. 샬롬의 사람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 안에
할 때 하나님의 뜻과 방식에 걸맞게 행동한다면 서 기쁨 시65:8-13 을 누린다. 조화롭게 창조된 자연
그는 정의롭다고 할 수 있다. 공의롭고 정의로운 세계를 원리에 합당하게 운영하여 필요를 얻고,
성향과 행동은 샬롬을 이루는 기반이다. 타인을 경제 문화 등 사회의 각 영역을 하나님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