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E-BOOK
P. 43

까? 물론이다. 태초의 인간으로 이루길 원하셨던  력과 더불어 관계적인 건강함, 사회적인 성숙함
                       사람들의 문화, 이스라엘을 국가로 세우며 바라             과 문화적인 풍성함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모든
                       셨던 정치, 땅끝까지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기를             영역에 주목하여 성경적인 삶을 누리도록 돕고
                       명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기독교사는 가르             자 애쓴다. 오늘도 변함없이 고통과 상처가 반복
                       침으로 학생들에게 부탁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             되는 교육현장에서 눈 앞의 아픔을 나의 것으로
                       독교사에게 수업을 준비하고, 유효한 수업 방법             끌어안고 살아내는 삶에, 그리스도께서는 함께
                       을 고민하고, 의미있게 평가하며, 학생들을 상담            책임의 멍에를 지고자 우리 기독교사를 부르신
                       하고 그들의 생활을 지도하는 것은 그저 직업적             다. 
                       성실함을 넘어, 하나님이 우리를 교사로 부르신
                       사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Үਭਵ۽ Ҋా߉ח ઁ੗ٜҗ ޖց૓ Үਭ੄
                                                                    ҳઑо ੓חؘ  ੉Ѫ ژೠ ਋ܻ ࢶҮഥо ಿয
            ҮࢎࢶҮഥח ࠄ૕੸ੋ ࠂ਺੄ ݺ۸ੋ ٣ݽؘ                                 ղঠ ؼ ೞա੄ ଼੐੉૑ ঋѷחо ࢤп೧ਃ
            নਭী ൨ॳغ  ѐੋ੸ਵ۽ ژ ҕز୓੄ ੉ܴ                                        @߅അࣻ ]      ઺ࠗӂ ࠺੹߹ޖܻ ࣗӒܛ ష੄
            ਵ۽ ખ ؊ ҕ੸ࢎഥী ӝৈೞח ࢎসਸ ߥ੉                         샬롬의 교육계에는 기쁨이 충만하다.
            Ѣա ੉৬ э਷ ഝزਸ ੹ޙ੸ਵ۽ ೞח ӝҙ
            җ ো҅ೞৈ ੿੄۽਍ ࢎഥܳ ݅٘חؘ ֢۱                          교육계에서 샬롬의 모습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기
            ೧ঠ ೠ׮                                            쁨에 참여하는 것은 기독교사가 누리는 기쁨이
            @ഘࣁӝ ] ೠҴ ҮࢎࢶҮഥ੄ ҮਭࢶҮഝزҗ ৉ࢎ੸ ੄੄                  다. 그에게는 진리가 실현되는 공간을 이루는 기
                                                             쁨이 있다. 학급에 질서가 있고 학생들 사이에 건
                                                             강한 관계가 세워질 때 교사는 왜 기쁜가? 정돈
                       기독교사가 소망하는 샬롬의 교육계는 양육과               된 것을 좋아하는 교사의 개인적인 성향 때문인
                       교육 이외에도 교육의 다양한 주체와 영역을 아             가? 아니다. 기독교사의 마음에는 하나님의 뜻
                       우른다. 교육의 현장에 나란히 서 있는 동료교사            이 학급에 실현되는 것을 보는 기쁨이 있기 때문
                       와 함께 신실한 가르침을 세우는 일은 교육계의             이다. 제자가 성숙한 신앙인이자 사회인으로 살
                       회복을 위하는 의미가 있다. 신앙과 교직의 삶이
                                                             아가는 모습을 보면 교사는 왜 기쁜가? 그동안
                       분리된 채 직업적 교사로 생활하는 이에게 하나             양육하고 수업했던 교사의 노력이 보상을 받기
                       님이 부르신 사명을 전하고 비전공동체로 초청하             때문인가? 아니다. 기독교사의 마음에는 제자의
                       는 것은 교육계에서 하나님 나라 확장을 위한 동            삶에 하나님께서 기대하시는 생명력 있는 삶이
                       역자를 얻는 일이다. 갈수록 파편화되는 교직 사            이루어지는 것을 보는 기쁨이 있기 때문이다. 우
                       회에 교실의 닫힌 문을 넘어 교육 공동체를 일으
                                                             리에게 임한 교사로의 부르심은 복음을 전하고
                       킬 수 있다면, 이는 본래부터 공동체적인 가르침            진리를 가르쳐 샬롬을 이루어가는 모든 과정적
                       과 배움의 모습을 회복하고 교육의 성경적인 의             인 경험에 의미를 둔다. 소명을 위하는 삶의 아름
                       미와 방식을 추구하는 학교를 소망하게 한다. 각            다운 결말을 위해서 과정의 힘겨움을 꾹 참는 인
                       급 교육기관이 ‘고아와 과부’로 상징되는 교육적            내는 진정한 샬롬이 아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약자에 주목하고 이들을 위해 교육 행정을 펼친
                                                             교육계의 잠재적 가능성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순
                       다면, 이는 분명 교육계의 공의로움을 촉진하는             간순간의 기쁨을 맛보고, 예수 그리스도의 다시
                       제도적 구조를 세우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오시는 때에 비로소 완전히 회복될 교육계에 대
                                                             한 하나님의 통치를 영원히 누리는 것이 샬롬의
                       샬롬의 교육계에는 책임이 충만하다.                   참된 의미이다. 샬롬은 자신이 하나님의 교사로
                       기독교사는 교육 현장에 샬롬을 선포하는 책임있
                                                             서 이러한 길로 부름받음을 감사하며 기뻐하는
                       는 행위자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교사로 부             마음이다. 
                       르시며, 교육계의 다른 주체는 감당할 수 없는 고
                       유하고 독특한 역할에 대한 책임을 지우신다. 그
                       분께서 이루어가시는 샬롬은 타락하여 왜곡된 교                      ҕز୓ܳ ੉ՍदҊ ੋب೧оҊ ҅दݴ ਋ܻ
                       육계를 구속하고자 하는, 교육계를 절대 포기하                     ীѱ ࣗݎਸ ઱दҊ ੉ܖযоदח ೞաשԋ
                       지 않으려는 소명의식을 가진 기독교사를 통하                                                    хࢎ೤פ׮
                       여 실재가 된다. 샬롬의 기독교사에게 배움이 힘                                     @୭ਮ੿ ] ࠺੹    ী ؀ೠ ੋ࢚
                       겨워 고통받는 학생은 외면할 수 있는 대상이 아
                       니다. 샬롬의 기독교사에게 교육기관이 변질되어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샬롬의 영역
                       운영되는 것을 지켜만 보는 것은 불편한 일이다.
                       샬롬의 기독교사는 자신을 교육계로 부르신 하나             샬롬의 안경을 쓰고 교육계를 바라보자. 이 안경
                       님을 알지 못하는 모든 국가의 예비교사와 교사             의 초점은 단지 예수님을 영접하여 천국에 이르
                       들을 동역자의 자리로 초청하는 교육선교에 책임             는 영혼 구원에만 맞추어 있지 않다. 샬롬의 안경
                       의식을 느낀다. 샬롬의 기독교사에게는 학생들              은 그것 너머 우리가 교육계라고 인식하는 모든
                       이 책임있는 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상을 살도록              영역을 주목하게 한다. 교육계는 가르침과 배움
                       가르치는 책임이 있다. 그는 학생들의 영적 생명            에 관련된 영역 속에 있는 관련자들로 이루어져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