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E-BOOK
P. 42
부여받은 창조성을 풍성하게 발현하여 운영하며 전히 이루어지는 샬롬의 상태를 꿈꾼다. 이는 하
기뻐한다. 늘로부터 임한 약속의 상상력을 가지고 교육 현
장에 이루어질 그리스도의 다스림을 믿음의 눈으
로 바라보는 일이다.
ܻח ੋр ࢎഥ য٣ࢲա ৬ ച೧ܳ
ܖदҊ ੋрਸ ݽٚ ઙܨ রীࢲ ҳਗೞ
दח ೞաש ҙबী زଵ೧ঠ ೠ ܻ ҮਭࢶҮח ࣻש ೞ࣑؍ ੌਸ যоח
о Ӓزউ ࠂب৬ ࢎഥଵৈܳ ࢲ۽ ࢚߈ ੌਃ
غח Ѫਵ۽ ੜޅ ࢤпೠ Ѫਸ ഥѐೠ @ਬ ] ѹࣻ۲ഥ ࣗх
@۽ਖ਼ ড
샬롬의 교육계에는 공의가 충만하다.
하나님께서 역사 안에서 해오신 일을 바라볼 때
기독교사는 교육계로 부르심을 받은 역할에 바르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어떠한 개인이나 시스 고 의롭게 반응한다. 공의로운 인격과 더불어 성
템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하나님의 나 경에서 찾을 수 있는 하나님의 뜻과 방식에 걸맞
라 대상16:31 이다. 하나님 나라가 온전히 펼쳐지는 게 부르심을 수행한다.
모습이 샬롬의 상태이다. 이 나라의 문은 예수께
서 왕으로 오셔서 십자가를 감당하심으로써 열렸
다. 또한 그리스도께서 왕으로서 행하시는 통치 ܻо ೞ۰Ҋ ೞח ੌ ࢎۈٜীѱ ݒ۱
가 충만하게 실현되는 모습 시93:1 이 샬롬의 상태이 ੋ ঠӝ৬ ۽Ӓ۔ਸ ٜ݅যղח ޙച
다. 샬롬의 공동체는 하나님의 말씀에서 가르치 ੋ ੌ ইפۄ ೞաש ࢎۈٜਸ ࣁਕоח
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공의의 마음을 가지고 정 ੌੑפ ೞաש খী नػ ࢎۈٜ Ӓٜ
의롭게 행한다. 이 공동체의 사역은 주께서 자신 ࣘীࢲ ࢶೠ ੌਸ ೧ աт Ѫਸ ࢤпೞ
ݴ ೞܖೞܖ Ӓ ೠ ࢎۈਸ ࣁਕоח ੌ ߄
을 세상의 여러가지 영역으로 부르셨고, 자신이 ۽ rনਭsੑפ
그러한 부르심에 합당한 역할을 수행하는 그리스 @ӣޙ୍ ] 5&.߄द
도의 제자로 살기를 원하신다는 책임을 중심으
로 이루어진다. 이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죄로 인 기독교사는 학생을 제자 삼아 복음을 가르쳐 지
해 타락한 창조세계가 자신의 섬김을 통하여 공 키게 한다. 우리는 이를 실현할 방법으로 양육에
의롭게 회복되기를 기뻐하고, 왕이신 그리스도의 헌신하고 있다. 제자로 삼은 학생들에게 십자가
통치를 힘입어 모든 영역에서 샬롬의 화평한 모 의 복음을 가르친다. 그리스도께서 주신 생명을
습이 실현되는 것을 주와 함께 누리기를 기뻐한 누리는 기쁨을 나눈다. 양육으로 하나님의 사람
다. 이 모든 설명이 가리키는 것이 바로 샬롬의 공 을 세우는 일은 교육 현장에 공의가 스며들게 하
동체이다. 는 중요하고 의미있는 행위이다. 우리는 양육으
로 제자를 징모하여 진리에 헌신된 제자를 세운
다. 그리스도를 본받아 삶 속에서 공평하고 의로
ҮࢎࢶҮഥח যڌѱ Үࢎܳ ࢿदఃҊ ઁ 운 일을 해나가는 소명을 가르친다. 복음에 합당
ٜਸ ࢎഥ ଵػ Ӓܻझبੋਵ۽ ࣁ ࣻ 하게 살아가도록 하루하루 격려하며 눈 앞의 한
ਸ ӒܻҊ Үਭۄח दझమ যڌѱ ೞ
աש উীࢲ ৮ࢿؼ ࣻ ਸܳ ࠁੌ ࣻ 제자를 세워간다. 샬롬은 기독교사가 제자를 양
ח ਬੌೠ ҕزۄҊ ࢤпפ 육하며 지향하는 지점이다. 공의와 공의를 이루
@࢚ଲ ] ѹࣻ۲ഥ ࣁ߹ ݽ 는 방법을 아는 지식. 사람과 세상의 타락과 왜
곡을 애통해하며 특별히 고아와 과부로 상징되
는 약자를 불쌍히 여기는 긍휼의 마음. 자신에게
하나님께서 교사선교회를 통하여 이루고자 하시
맡겨진 진리에 순종하는 의지적 태도. 우리가 양
는 샬롬은 무엇인가? 공동체가 지나온 역사와 사
역의 근본적인 동력과 방식을 이해하고 앞으로 육하는 제자가 갖기를 기대하는 모습이다.
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면, 우리를 교육계로 부
르신 하나님의 언약을 샬롬의 관점에서 살펴볼 അী աоࠁפ ইٜی ࣗాೞח दр
필요가 있다. 우리 교사선교회를 통하여 그분이 ী Ѣ ࠙ ࣻসҊ ӝةҮࢎ۽ࢲ
이루실 샬롬의 모습은 과연 무엇이고 어떠한가. ࢿ ࣻসदрী ٘۞աח Ѫ эইਃ
@Ҙೞ ] ࣻبӂ ࠺߹ޖܻ ࣗӒܛ ష
기독교사는 자신의 교육활동으로 진리를 가르쳐
샬롬의 관점으로 인식하는 교육계 지키게 한다. 여기에 교과 교육이 포함될까? 물론
이다. 만물이 시작될 때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세
교사선교회는 교육 현장이 복음으로 새롭게 되 상의 본래 구조와 특징을, 기독교사는 교과를 통
어 하나님의 나라가 되는 일을 소망하는 부르심 해 보여 준다. 기독교사는 이 세상의 타락을 알려
을 얻었다. 우리는 성육신하신 예수께서 우리에 줄까? 물론이다. 죄 때문에 어그러져 불의한 모
게 보이신 하나님 나라의 통치와, 십자가를 통하 습을, 기독교사는 수업과 생활지도를 통해 드러
여 온전히 이루신 구속과, 승천하며 제자들에게 낸다. 기독교사에게 맡겨진 회복의 역할이 있을
맡기신 사명이 우리가 몸담고 있는 교육계에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