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E-BOOK
P. 37

Ѩష ] ӣ҃ৠ ӣ݅ഐ ӣ࢚క ߅അࣻ नੋഐ ৏ਘই ੉Ѣی ੢઱ੋ
                                                                        ӣਬ૓ ܨହӝ ߅ઁݺ ߔथҴ ੢ݺࣻ ઱ઙഐ
                                                                        ߔਮ੿ উ޷৔ ਬоۈ ੉҃ળ ੉ਬജ ઑࣼഋ ഘ઱৔      ࠗ࢑
                                                                        ъزഅ ӣӝ৮ ӣ৘૑ ࢲޙաഌ
                                                                       Ҋ৘਷ Ҋ਷ഌ ӣթബ ഋ҃޹






















            교사선교회는 교육계가 하나님 나라가 되기를 소망한다. 하나                  교사선교회는 교육에 샬롬을 선언한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님이 창조하신 교육의 본래 모습이 지금과 같았을까? 학생들                  족속을 제자로 삼아 말씀을 가르치고 지키게 하는 교사선교사
            을 보라! 복음을 모른 채 무신론적 세상에 매여 있다. 뒤틀린                로 우리를 부르셨다. 우리의 사명은 교육계에 책임있는 그리스
            가족과 또래 관계의 어려움은 어떤가. 배움의 기쁨을 잃은 이들                도의 공동체로서 공의로운 태도로 십자가 복음을 전하는 교육
            은 어찌할 것인가. 교사들을 보라! 힘들어지는 수업과 생활지                 선교에 기쁨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그것은 성경의 가르침을 바
            도, 각자도생의 교직 풍조는 교사의 공동체성을 무너뜨린다. 저                탕으로 교육계의 영역마다 사랑을 비추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
            경력 교사들의 버거움은 그저 개인의 몫인가. 신앙과 교직이 분                은 우리가 감당해온 양육이 가진 본래의 정신을 지키고 심화시
            리된 채 직업인으로 살아가는 교사들은 어찌할 것인가. 학부모                 켜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교사들을 일으켜 새 힘을 주
            들을 보라! 자녀 교육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교육의 소비자로                 고 복음과 가르침에 대한 소명을 불어넣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
            머물러 있다. 교육의 구조를 보라! 입시제도는 교육을 왜곡시                 은 제자들이 창조 세계를 온전하게 알고 그리스도의 통치를
            키고 학생의 온전한 성장을 가로막는다. 교육은 외적인 요인에                 이 땅에 이루는 꿈을 꾸도록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의하여 방향 없이 표류한다. 오늘날의 교육은 “이 땅은 춥고 어               무너진 교육의 문제를 끌어 안고 본래의 모습으로 회복시키는
            둡다. 우리가 빛이다!"라고 선언했던 교사선교회의 시대정신                  희망을 품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선교회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을 기다린다.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예수님처럼, 교육계는 이곳                그 길을 주와 함께 걷기를 선언한다. 우리는 하늘의 뜻이 교육
            의 고통과 상처를 끌어안을 책임 의식을 가진 이를 고대한다.                 계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을 다시 오실 그리스도와 함께 볼 것이
                                                              다. 하나님은 우리를 샬롬의 기독교사로 부르셨다. 
            교육계의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십자가로 선포하셨고 이 땅
            에 이미 시작하신 예수님의 다스림. 장차 왕 되신 그리스도께
            서 다시 오셔서 이루실 교육계의 완성. 그것은 샬롬의 모습이
            다. 말씀의 조화로운 질서인 샬롬에는 공의가 가득하다. 기독
            교사는 부르심에 바르고 의롭게 반응하고 하나님의 뜻과 방식
            에 걸맞게 행동한다. 그리스도의 다스림이 선명한 샬롬에는 책
            임이 가득하다. 교육현장의 아픔을 삶으로 끌어안고 예수님을
            닮아 양육하고 가르치는 책임이 기독교사의 소명이다.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샬롬에는 기쁨이 가득하다. 제자 삼은 영혼이
            복음을 깨달아 생명을 얻고 그리스도의 말씀대로 살아가는 기
            쁨, 풍성한 가르침을 통하여 창조세계를 세워가는 기쁨은 샬롬
            이 주는 소망이다. 예수께서 왕으로 오셔서 완전히 회복시키실
            교육은 공의와 책임과 기쁨이 풍성한 샬롬의 교육계이다.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