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2 - E-BOOK
P. 182
교육은 세상을 바꾸지만 교육은 교육선교의 사명을 감당하
는 일선 교사의 삶과 인격으로 변화됩니다. 교사는 교육과 선
교를 가장 효과적이고 감당할 수 있는 자원이며 교육이론이
나 정책, 혁신적 수업이나 지도력 보다 우선됩니다. 최근 교사
선교회나 좋은교사운동이 힘 쏟고 있는 교육이론이나 방법,
교육정책, 교육실천운동 역시 그 본질에는 교사의 인격을 매
개로 하고 있습니다.
나. 교사 정체성
교사는 예수님의 삶처럼 교사와 학생의 인격적 만남에 관심
을 가지고 살아가는 ‘스승’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그 이상의
삶, 즉 ‘아버지’로서의 삶을 요구합니다.
그 영역을 정하여 교사들을 인위적으로 배치한다 하여도 자발
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버지는 많지 아니하 성에 근거하지 않는다면 교육선교는 다시 형식과 겉치레로 전
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내가 복음으로써 너희를 낳았음이라 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교육선교는 교사에게 초점을 맞추어
_고전4:15
야 하고 헌신된 교사를 양육하여 길러내는 것이 교육선교의
주요 과제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교사선교회는 지금까지 교사라고 쓰고 기독교사, 교사선교
사, 스승과 아버지로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읽어온 공동체입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시몬아 내가 네게 이를 말이 있
니다. 이러한 믿음의 반응과 사랑이 잘 녹아 있는 교육실천 영 다 하시니 그가 이르되 선생님 말씀하소서 이르시되 빚 주는
역이 디모데양육입니다. 교육선교의 정의 이전에 ‘교사의 본질
사람에게 빚진 자가 둘이 있어 하나는 오백 데나리온을 졌고
은 무엇인가?’, ‘누가 진정한 교사인가?’, ‘어떤 교사로 살고 싶 하나는 오십 데나리온을 졌는
은가?’에 대한 심사숙고가 이 데 갚을 것이 없으므로 둘 다
루어져야 합니다. 교육선교에 नػ Үࢎо ଵৈೞח ݽٚ 탕감하여 주었으니 둘 중에 누
대한 공동체의 가이드라인도 가 그를 더 사랑하겠느냐
중요하지만 교사로서 자신의 Үਭ ഝزҗ ҮਭࢶҮ
_누가복음7:40-42
삶을 해석하고 반응하는 태도 ੑפ Ӓо ੌ࢚ীࢲ ש
가 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삶의 헌신은 사랑의 강도와 관
교육선교는 형식이 아니라 분 җ Үઁೞݴ ইоח ݽٚ 련이 있습니다. 받은 사랑이
명한 우리들의 삶을 요구할 것 헌신의 크기와 순종의 수준을
이기 때문입니다. җ ҮਭࢶҮੑפ
결정합니다. 비록 수준과 크기
의 차이는 있다하더라도 예수
5. 디모데양육에서 본 교육선교 정의 님의 사랑에 반응한 교사가 들어서는 모든 교육적 영역이 교
가. 교사의 공적 기여 육선교지입니다. 그러한 교사는 예수님처럼 인격을 통하여 삶
교육선교의 키워드는 공공성과 교육전문성입니다. 디모데양 을 변화시키고자 열망하며 사욕을 내려놓고 순순한 자발성으
육은 교육전문성과 거리가 있지만 공공성에는 맥락이 닿아 있
로 하나님의 영광을 구합니다.
습니다. 디모데양육은 이타적 동기에서 출발하여 교실과 학
교, 교육현장을 바꾸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공성의 다. 교육선교의 정의
기저에는 헌신된 교사의 인격적 반응과 삶의 과정이 자리하 헌신된 교사가 참여하는 모든 교육적 활동과 영역이 교육선교
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나라를 교육영역 지입니다. 그가 일상에서 주님과 교제하며 살아가는 모든 삶
속에 어떻게 녹여나갈 것인가?’하는 교사의 깊은 고민과 연결
의 과정이 교육선교입니다. 그리스도 안에 꿈 있는 교사들은
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공적인 삶의 기초를 형성하여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합니다. 라이프 성경사전에
나. 교육선교 내 교사의 위치 는 선교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교육선교는 교실과 학교, 수업과 교육정책, 교육전문성이라
고 하는 교육적 상황과 영역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섬김의
선교 ᔯ༤, mission 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복된 말씀(복음)을
실천적 영역을 추적하여 들어간 교사의 인격에 의하여 교육선 널리 전파하는 일 내지는 이 일을 위해 파송되는(보냄을 받
교의 범위와 수준이 결정됩니다. 교육선교를 개념을 세우고 는) 행위를 가리킨다. 선교의 최고 모델은 세상을 구원하기 위
해 성부 하나님에 의해 이 땅으로 파송되신(성육신) 예수 그
리스도이시다 요 3:16 . 그래서 예수께서도 선교(십자가 구원 사
역)의 사명을 감당하신 후 부활, 승천하시면서 제자들과 무리
들에게 땅 끝까지 이르러 증인이 되라고 당부하심으로써 사실
상 이 땅의 모든 성도들에게 선교사로서의 사명을 위임하시
고, 또 친히 파송을 명하셨다 마 28:18-20; 요 17:18 . 따라서 교회나
성도는 인류의 역사가 끝날 때까지 세상 어디서나 그 증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