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9 - E-BOOK
P. 179
1. 교육선교의 과제: 교육선교의 개념 세우기
현재 교사선교회가 논의하고 있는 교육선교는 다양하고 복잡
한 이견들이 존재합니다. 교육선교는 교육영역의 선교적 사명
으로 ‘교육인가?’, ‘선교인가?’에 대한 우열과 함께, 교육영역
선교, 교육전문성 선교, 교육전문 선교로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는 ‘교육이 무엇인가?’의 생각만큼이나 복잡하
고 다양한 것이어서 교사선교회는 교육선교에 대한 일치된 공
감이 미약합니다.
2019년 1월 교사수련회에서 소개된 교육선교는 ‘교육 전문성’ 나. 디모데양육의 성격
과 ‘선교’를 강제 결합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3월 1일 대전에
‘디모데양육은 교육인가? 선교인가?’
서 열린 제 4차 디모데양육집담회는 그러한 인식을 반영하듯 디모데양육은 선교적 사명이 교육적 사명보다 우선합니다. 교
교육선교 내에 디모데양육의 개념이 부재하거나 입지가 좁다 사들은 ‘제자의 이름으로 냉수 한 그릇(마10:42)’을 나누려는
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교육선교 안에서 마음으로 사역에 동참하였습니다. 그들은 교육선교의 개념이
양육, 교육, 수업의 관련성을 찾지 못한다면 다음 세대의 디모 정립되지 않은 시기에 부르심(소명), 사명, 비전을 따라 헌신
데양육도 어렵다는 위기감도 있었습니다. 교사선교회가 논의
했습니다. 이들은 선교와 양육의 유사성을 찾고 교실 속에서
하는 교육선교는 교육영역으로 부름 받은 우리 모두의 과제 실천적 선교자로 살아왔습니다. 이로 인해 디모데양육교사에
입니다. 그러나 하나의 틀 속에 양육과 교육이 수용되지 않는 게는 교육보다 선교라는 말이 더 친근합니다. 교사들은 교육
다면 디모데양육과 교육선교 사이에 많은 오해와 갈등이 예 적 필요보다 선교적 필요에 때문에 교육전문성, 학교업무, 교
견됩니다. 현재 교육선교는 ‘교육전문성 선교’라는 인식이 디 직원관계, 학부모관계에
모데양육 교사들 사이에 싹트 노력하는 경향을 보입니
고 있고 디모데양육 사역에 대 ҮਭࢶҮܳ ѐೞ۰ݶ ҮࢎࢶҮ 다.
한 사기저하를 가져오고 있습
니다. ഥо оҊ ח և ࢎ 다. 디모데양육과 교육
비전2020과 관련하여 교육선 ҮਭࢶҮ ౣ۽ ੜ ৈ ઉঠ 선교와의 관계
교를 전개하려면 교사선교회 ‘디모데양육이 교육선교
가 가지고 있는 폭 넓은 사역 פ Үਭҗ ࢶҮܳ غ ܻ࠙غ 에 위치할 수 있는가?’
이 교육선교의 틀로 잘 짜여 져 ঋ ೞա ѐ֛ਵ۽ Үਭࢶ 교육선교는 디모데양육
야 합니다. 교육과 선교를 담 에 대하여 ‘양육이 교육인
되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개념 Үܳ ೞҊ ҮࢎࢶҮഥо ୶ҳ 가?’라는 질문을 던집니
으로 교육선교를 정의하고 교 다. 오랫동안 교사선교회
사선교회가 추구해온 본질을 ೧ৡ ࠄਸ ੜ ֣ৈղঠ פ 는 교육과 양육의 유사성
잘 녹여내야 합니다.
을 찾아보려는 시도가 많았습니다. 교육과 양육은 인격과 인
격이 만나서 일으키는 긍정적 변화입니다. 교사선교회는 양육
2. 교육선교와 디모데양육: 디모데양육 속앓이 의 개념을 교육의 개념까지 근접하여 설명하고 양육을 가장
교육선교의 개념으로 인해 디모데양육 사역에 던져진 고민들
온전한 교육적 모델로 제시합니다. ‘양육이 교육인가?’에 대
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고민들은 교사선교회가 오랫동안 가 한 질문의 극단은 ‘교육은 양육인가?’입니다. 공공성에 근거
져왔던 고민과도 맥이 닿아 있습니다.
한 교육실천(교육이론 탐색, 교육방법, 수업실천 등)이 양육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또한 물어야 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가. 디모데양육의 목적과 방향, 방법 교육과 선교의 합의점을 찾아 교육선교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디모데양육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얼마간의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디모데양육은 ‘가서 제자 삼으라(마28:18-20)’라는 말씀에
근거한 제자 양육사역입니다. 구체적 교육과정은 영접, 구원, 3. 디모데양육: 한계와 가치
성장, 변화, 섬김, 비전입니다. 디모데양육은 오랫동안 양육이 가. 디모데양육의 현실적 제약
금지되거나 제한된 공교육 안에서 사역을 감당 왔으며 디모데 디모데양육은 높은 이상과 함께 현실적 한계를 분명하게 가지
캠프, 작은별잔치, 토요학교 사역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디모
고 있습니다. 디모데양육은 선교적 사명에 충실하면서도 종교
데양육은 교사와 디모데의 삶의 전 과정을 말합니다. 말씀 훈 교육 금지, 종교 편향성, 가치중립성, 보편적 교육론 등으로 공
련과 생활 훈련을 통하여 교사와 디모데는 인격적 관계를 맺 교육 상황에서 대중화하기 어렵습니다. 뿐만 아니라 디모데
고, 토요일 성경공부를 통해 말씀을 깊이 있게 알아갑니다.
양육은 기독교사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이견과 제재를 받고
있습니다. 1년이라는 짧은 기간의 디모데양육은 제자의 삶을
보증하지 못합니다. 때로는 학생, 학부모, 교직원들에게 불필
요한 진리를 강요하는 것처럼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종교금지
와 가치중립성을 표방하는 법적인 문제, 학부모 민원, 관리자
들의 반대, 학생들의 무관심, 과도한 학교 업무, 학습지도 과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 사교육 편중, 스마트폰과 같은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