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 E-BOOK
P. 181
동이 수업 및 교실 개선이라는 보편성에 기초한다면 디모데양 4. 교육선교의 핵심으로서 교사
육은 인격과 인격의 개인적 만남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가. 교사선교사 VS 교육선교사
교사선교회가 지금까지 교사의 정체성으로 사용한 말은 ‘기독
디모데양육은 하나님의 말씀을 기초로 개인과 사회에 대한 교사’ 또는 ‘교사선교사’였습니다. 최근 교육선교에 대한 논의
이타적 섬김을 실천합니다. 개인적 삶의 변화, 공동체, 삶의 개 가 짙어지면서 ‘교육선교사’라는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이는
척, 하나님 나라와 비전이라는 개인적, 사회적 공익을 양육을 교육사역 전반을 포괄하는 장점이 있지만 교사선교회의 규모
통해 실천하고 추구합니다. 나 공동체의 범위를 규정짓는 말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디모데양육은 전인적 삶에 대한 필요를 채우며 전인적인 돌봄 즉, ‘교사선교사’와 ‘교육선교사’는 공동체의 규모와 범위를
을 기초로 합니다. 성경은 사적인 영역이 아니라 총체적인 진 규정하는 말입니다. 만약 ‘교육선교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리로서 현재의 삶을 해석하고 미래의 방향성을 찾아가는 진리 자 한다면 현재의 ‘교사공동체’가 ‘교육공동체’로 성격이 변화
입니다. 디모데양육은 디모데와 교사, 디모데와 디모데의 상 됨을 의미합니다. 이는 새롭고 다양한 동역자들을 만나게 되
호간의 관계성을 형성하며 보다 큰 규모의 공동체에 유기적으 는 긍정적은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동체의 규모가
로 연결됩니다. 양육을 통하여 인식의 폭이 확대되고 하나님 커질수록 다양한 이익집단이 형성되고, 교사선교회 본연의 설
에 대한 믿음으로 개척자적 삶을 살아갑니다. 립 이념이나 가치가 훼손될 수도 있습니다.
디모데양육은 믿음의 다음 세대를 일으키고 보다 창조적인 시
대를 이끌어갈 리더들을 세웁니다. 디모데양육은 이들을 통
해 세상을 변화시키고 개혁해 나갈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모데양육의 형식이나 틀은 오랜 시간 교사선교회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최근에는 토요학교,
중등 동아리활동 등으로 다양한 측면들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실적 제약과 어려움, 낮은 성취감, 교사역량 개발과 교육 전
문성에 대한 요구로 디모데양육에 대한 참여가 감소되었습니
다. 그러나 디모데양육의 소박한 면들에는 공공성이 여전히
살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