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5 - E-BOOK
P. 265
t ҕध ੌਸ ݃ ٍ t ୭Ӕ ݻ ֙ زউ ਊয
ীب ߊਵ۽ ഥप ాੌҗ নਭ ҙ۲ ߨ
ী ݽৈ ߎ ןѱө ଲন ޙઁ নਭ ࢎ ӝઑ ١
ೞݴ ӝبഥܳ যоҊח ਸ ঠӝ೮যਃu
೮ભu
2016년 2월 | ‘디모데양육집담회 ᭽ႇἀ ’를
2011년 | 디모데캠프, 부흥하고 독립하 열다
다 1988년 출범한 교사선교회는 이제 전국적
2009년 이전까지 디모데캠프는 각 지역별 인 조직이 되었어요. 예전에는 그냥 한 눈
무리가 돌아가면서 운영해왔었어요. 그런 에 들어오는 한 가족과 같았다면 이제는
데 여기에는 많은 아쉬움이 있었기에 이 이미 그 선을 넘어선지 오래되었죠. 디모데
때 제자국장을 맡은 한은혜선생님은 향 양육도 마찬가지였어요. 처음에는 인천지
후 10년간 디모데캠프를 한 팀이 맡아 운 역 몇십 명의 아이들이 디모데들의 전부였
영하겠다는 결단을 했답니다. 2009년에 지만 이제는 전국에서 적어도 매년 약 600
이 일에 헌신할 70여명의 사람들이 구로 명 이상의 디모데들이 양육을 받고 있어
에 모였는데 이들은 앞으로 자신이 캠프 요. 또한 캠프를 각 지역에서 개최하고 토
에서 어떤 영역을 담당할지 마음을 정하 요학교도 각 지역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서
고 기도했다고 해요. 이때부터 디모데캠프 로의 양육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고민
가 부흥하기 시작했고 주춤했던 디모데양 은 없는지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한 곳에
육 사역도 함께 뜨거워지기 시작했습니 모일 기회가 적어졌어요. 주종호 선생님은
다. 해를 거듭하면서 캠프에 참가하는 디 제자국 사역을 하면서 이 점에 관심을 갖
모데들은 점차 공동체를 이루어가기 시작 게 됐어요. 디모데양육이 주로 교사 각각
했어요. 캠프 공식 일정을 마친 뒤에도 자 의 양육으로서 미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
발적으로 집회실에 모여 밤 늦게까지 찬양 지고 있지만 때로는 공동체가 함께 모여
하며 기도회를 이어가고는 했죠. 과거에 공동의 고민을 꺼내놓고 거시적인 문제도
인천 제자별무리를 통해 디모데들의 깊은 다룰 필요가 있었죠. 그래서 캠프팀과 본
교제가 일어났었다면, 이제는 디모데캠프 부 제자국의 사역을 구분해서 본부 제자
를 통해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고 다음 세 국은 공동체의 디모데양육 이야기를 모으
대 디모데공동체와 디모데들의 문화가 만 고 정리하고 확산하고 양육을 지원하는
들어지기 시작했어요. 2010년까지 디모데 일에 집중하기로 했어요. 그 맥락에서 열
캠프는 전 지역의 디모데들이 한 곳으로 게 된 것이 ‘디모데양육 집담회'였답니다.
모여 열렸지만, 2011년 남부지역을 시작으 여기에서는 그간 함께 모여 이야기하지 못
로 서울, 중부권, 호남지역 등이 점차 별도 했던 디모데양육과 관련된 여러 주제들
을 놓고 토론을 했는데 최근 몇 년 동안은
의 독립적인 캠프를 운영하게 됐어요. 그 제자국
래서 지금은 서울, 경기인천, 중부권, 호남 용어의 통일과 양육 관련 법적 문제, 양육
권, 영남권 등 전국 5개 이상의 지역에서 사역의 기조 등을 이야기했어요. 이제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디모데캠프가 열리고 그 이후 또다른 차원의 이야기들을 이어나
있습니다. 갈 준비를 하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