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E-BOOK
P. 58
그날 나는 그들에게 물었습니다. 핸드폰 세계 1위 노키아의 몰락입니다. 한
번 대단한 성공을 경험하고 무너진 영역
"무엇 때문에 이 모임에 이렇게 열심히 오 을 다시 회복하기는 어렵습니다.
시나요?" (나의 매력 때문이라고 기대하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교육선교'는 무엇
지 않았지만…^^) 인가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 공동체를 보면,
일단 교육선교라는 말의 정의가 어렵습니 "대단한 성공의 경험 이후 어떻게 변하고
그들의 답변은 유사했습니다. 다. "교육이라는 하나님의 나라(각 영역)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에서 그 분의 뜻(하나님을 앎, 속성)이 이 그것이 포스트비전 2020의 내용이고 생각
"함께하는 사람이 좋아서요.” 루어지는 것"을 교육선교라고 대략 정리 합니다.
하고 답변을 해봅니다.
왠지 선교회에 있는 이유, 양육을 하는 이 오히려 선교회에 묻습니다.
유와 비슷하지 않나요? 서로가 서로에게 포스트 비전2020을 생각하며 교사선교 대단한 성공 이후 위기를 겪었지만 다시
좋은 사람이 되어주고, 그들이 기댈 수 있 회에 대한 간사님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 도약한 사례가 무엇이 있나요?
는 작은 의자가 되어주고 싶습니다. 야기해주세요. 다시 도약할 수 있었던 동력은 무엇이었나
최근 강의 중에 "대한민국의 교육 발전은 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한계는 무엇인 어떤 것 같은가요?" 라는 질문을 받았습니
가요? 다. 다들 현재 교육에 대해서 일부 부정적
첫 번째로 교사 모임을 새롭게 시작해서 인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
만들어본 경험이 없다는 것입니다. 계 역사적으로 단기간에 양적, 질적으로
그래서 순간순간 '이게 맞나?’하는 생각 이렇게 교육을 성장시킨 사례는 찾아보기
을 하게 됩니다.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사 힘듭니다. 거의 기적에 가깝습니다.
람에게 이 일은 어렵고 힘듭니다. 난 우리 교사선교회의 비전 2000, 비전
두 번째는 현재 교육청에서 일하고 있다 2020이 '대한민국의 교육의 성장'과 같은
는 것입니다. 학교 선생님들과 이야기하 매락에서 이해가 될때가 있습니다. 현재
고 나누는 것들의 한계를 느끼는 경우가 선교회의 상황에 대해서 일부 부정적인 생 u
있습니다. 물론 최대한 수용하려고 노력 각을 가질 수 있지만, 하나님이 우리를 통 য়۰ ࢶҮഥী
하지만 선생님의 리더는 선생님이 맞는 해서 이루신 발자국은 실로 대단합니다. ޚणפ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이로 해야 할 것을 잇
몸으로 하는 느낌입니다. 대단한 성공을 이루 나라, 사람은 변화에 ױೠ ࢿҕ റ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있습니
다. 자신들의 경험이 곧 성공이기 때문에 ਤӝܳ ѻ݅
세계적, 시대적 변화를 빠르게 인식하지 द بডೠ ࢎ۹о
못하고 당연히 변화를 이루어야 할 타이
밍을 놓칩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2G ޖ 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