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E-BOOK
P. 65
u
Үਭҳࢿਗ
ࢿਸ ذח ҕزܳ
ٜ݅Ҋ ਬೞח Ѫਸ
Ҋ पୌೞҊ
णפ
ഝز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한계는 무엇인
가요?
공동체를 일관성 있게 지속하는 것, 필연
선생님이 힘쓰고 계신 교육실천(전문성) 적으로 거치는 갈등에 직면하는 것, 사랑
활동을 소개한다면? 과 공의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 개입할 타
교육구성원의 성장을 돕는 공동체를 만들 이밍 잡는 것 등입니다.
고 유지하는 것을 고민, 실천하고 있습니
다.
교육실천(전문성) 활동에 힘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나님 나라가 땅에서도 이루어진다는 말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교육선교'는 무엇
씀을 기대하고 소망하는 마음과 이것이 인가요?
우리가 살아가는 교실과 공동체에서도 이 예수님과의 부모-자녀된 관계가 교육적
루어질 수 있다는 확신 때문입니다. 관계(교사-교육 구성원(학생,학부모,동료
교사 등), 부모-자녀, 리더-멤버 등)속에
과정에서 가장 의미 있었던 일(사건)은 서 구현되는 일상적 과정입니다.
무엇인가요?
서근원의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라는 포스트비전2020을 생각하며 교사선교회
질적 연구 논문을 보다가 '공동체는 평범 에 대한 간사님의 생각을 자유롭게 써주
한 날들 속에'라는 글귀를 보았을 때, 어 세요.
떤 이상을 향해서 다 같이 아름답게 달려 하나님께서 펼치실 2020 이후의 모습이
가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다양한 구 진심으로 기대됩니다. 준비 과정 속에서
성원과 갈등하고 공존하는 불완전한 진흙 섬기시고 도우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탕과 같은 것이 공동체라는 것을 알게 되
었습니다. 예수님의 사역 과정들을 살펴보
면서 예수님이 사람에게, 공동체에게 어떻
게 다가가셨는지, 무엇을 하셨는지 돌아보
는 계기가 되었습니다.